건강이야기
반사성 실신
반복적으로 잦은 실신을 하는 경우 생활자체가 힘들고 삶의 질이 떨어진다. 대비할 수 있는 전구증상이 없거나 전구증상이 너무 짧아 대비할 시간이 없다. 그리고 직업적으로 운전하거나 중장비작동하는 업무, 비행하는 업무를 하는 반사성 실신를 가진 경우는 심각한 경우로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에 있어서는 연령, 환자의 심각한 정도, 임상양상등에 따라 치료가 조금씩 달라진다. 먼저 반사성 실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반사성 실신 반사성 실신은 신경 매개 실신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미주신경성 실신, 배뇨나 배변 기침과 같은 특정상황에서 발생하는 상황성 실신, 고개를 확 돌리거나 넥타이를 세게 묶은 경우 부교감 신경이 자극이 되어 이로 인한 경동맥동이 자극되어 발생하는 실신이 있다. 심박동수가 떨어지고 ..
2023. 9. 23. 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