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혈뇨의 원인
혈뇨는 신장, 요관, 방광, 전립선(남성의 경우), 요도 등 요로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은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1. 신장의 원인(신장)
- 사구체 질환 (예: 사구체신염)
- 다낭성 신장 질환
- 신장 결석
- 신장 종양(예: 신세포 암종)
- 감염(예: 신우염)
- 외상
2. 요관 및 방광 원인
- 요로결석(결석)
- 방광암
- 요로감염(UTI)
- 흡충증 (풍토병 지역)
- 방사선 방광염 또는 화학 요법
3. 요도/전립선 원인
-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
- 전립선암
- 요도염
- 격렬한 운동(특히 젊은 사람들)
4. 전신적 원인
- 응고병증 또는 항응고제 치료
- 낫적혈구병 또는 낫적혈구 형질
- 혈관염(예: 루푸스 신염)
평가 및 진단
- 병력 : 발병, 지속 기간, 통증, 소변 색깔, 관련 증상(예: 발열, 배뇨곤란), 최근 외상이나 운동, 복용 중인 약물.
- 신체 검사 : 복부/옆구리 통증, 전신 질환의 징후.
- 요검사 : 적혈뇨를 확인하고 단백질, 원주 또는 감염 여부를 확인합니다.
- 소변 배양 : 감염을 배제하기 위해.
- 이미징 :
- 초음파 (초기 검진)
- CT 요로조영술 (결석, 종양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
- 방광경검사 : 특히 40세 이상 환자나 악성 종양에 대한 위험 요소가 있는 환자의 경우.
- 신장 생검 : 사구체 원인이 의심되는 경우.
반응형
'신장질환지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풍의 증상 (0) | 2023.09.23 |
---|---|
신장이식 후 좋은 음식 (0) | 2023.06.27 |
신장이식 공여자조건 (0) | 2023.06.15 |
동맥혈검사 (0) | 2023.05.28 |
장폐색과 장허혈 (0) | 2023.05.26 |